|
 |
 |
|
올린이 :
보도 |
조회수: 782 추천:78 |
2015-07-16 21:26:21 |
|
팝콘뉴스---체면 구긴 현대차 정몽구…노동부 장관의 '쌍용차 비교' 발언 |
체면 구긴 현대차 정몽구…노동부 장관의 '쌍용차 비교' 발언
현대차 노사갈등 극대화…전주공장 노조위원장 업무방해 혐의 구속까지
신상인 기자 | popcornnews@daum.net
승인 2015.07.16
(팝콘뉴스=신상인 기자)
현대자동차(회장 정몽구)가 고용노동부 장관의 쌍용자동차와의 비교로 체면을 제대로 구겼다. 고용노동부 장관이 현대차와 현대차 노동조합에 대해 작심하고 '쓴소리'를 던졌기 때문이다.
현대차는 그간 한전부지 공공기여금을 둘러싼 갈등과 해외 시장에서의 실적 부진이 주가 하락으로 이어지고 있다는 일각의 분석이 지배적이다.
최근에는 국내 공장에서의 노사갈등과 폭력사태까지 불거졌으며,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노동부 장관의 쓴소리는 노조 측의 문제나 책임으로만 돌릴 수 없다는 게 관련업계의 관측이다.
▲ 이기권 고용노동부 장관이 현대차를 쌍용차와 비교하며 현대차와 현대차 노조에 대해 작심한 듯 '쓴소리'를 던져 정몽구 회장의 체면이 제대로 구겨졌다는 후문이다. ⓒ뉴시스
15일 취임 1주년을 맞은 고용노동부 이기권 장관은 "쌍용자동차는 가동률이 60%밖에 안 되지만 노사가 똘똘 뭉쳐 좋은 자동차를 생산해야 고용을 늘릴 수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있다"며 노사관계에 있어 대표적 난항을 거듭하고 있는 현대차 측과 비교했다.
이날 오전 이 장관은 쌍용자동차 평택공장을 방문하고 "쌍용차는 적자의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노사가 라인을 다량생산체제로 바꾸기 위해 노사가 협의하는 등 다양한 고민을 하고 있었다"고 전했다.
반면 현대자동차 울산공장 생산 중단에 대해선 "안전상 결함을 고치기 위해 라인을 중단한 것은 당연한 결정이지만 안전 점검 후 작업을 해도 된다는 안전보건공단의 통보에도 또 다른 합의를 요구하며 작업을 방해하고 있는 것은 안 되는 일"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3일 현대차 울산1공장 한 라인에서 생산작업 중 용접 부위가 떨어지는 사고가 발생하면서 공정이 중단됐다. 당시 사고 원인 등을 두고 노사가 이견을 보이면서 작업이 재개되지 않았다.
또한 "현대차 전주공장은 시설이나 작업 방식을 개선했음에도 불구하고 전체 가동 능력의 80%만 생산한다고 노사가 합의했는데, 말도 안 된다"며 "노사가 책임의식을 갖고 그릇된 합의 관행을 고쳐 나가야 한다"고 꼬집었다.
최근 현대차는 상용차 부문 글로벌 메이커로 도약하기 위해 2020년까지 전주공장에 약 2조 원의 투자를 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지난 6월에 가동률을 놓고 노사 간 폭력사태가 벌어지면서 논란을 키우고 있다.
현대차 전주공장의 노사갈등 문제는 최근 집회 장소에서 노조원들이 사측 관리자를 폭행하는 모습이 담긴 영상이 온라인을 통해 배포되면서 날로 격화되고 있다.
노사 갈등에서 비롯된 이번 폭력사태가 현대차 측이 빚어낸 자작극이라는 주장과 함께 전혀 다른 입장을 고수하고 있는 사측과 대립하면서 진위 여부에 이목이 쏠리고 있다.
노조 관계자는 "전주공장 노동조합과 노동자들을 폭력 집단으로 낙인찍으려는 사측의 음모"라며 "여론 악화와 사회적 고립, 징계, 고소ㆍ고발, 공권력 투입 빌미를 만들려는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반면 사측은 "최근 7개월치 (트럭) 출고 물량이 적체된 상황에서 이를 조속히 해결하려는 도중 발생한 사고"라며 "원인에 대해서는 정확하게 파악된 게 없다. 때문에 따로 할 말도 없다"고 밝혔다.
이에 앞서서도 전주공장 노사갈등은 2013년부터 주간 2교대로 전환하며 상용차 생산을 두고 극에 달했다.
이에 따라 사측은 노조 측을 업무방해 등의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지난해 11월에는 정치활동을 하러 온 구(舊) 통진당원들의 공장 진입을 회사가 거부하자 노조 측이 공장 출입문을 봉쇄해 업무를 방해한 혐의를 받고 있다.
지난 1월에도 공장 무인공정 과정에서 엔진 이송기 체인이 끊어지는 장비 고장 사고와 관련해 대책 마련 및 전문장비업체의 설명회 등을 요구하며 6일 간 생산라인을 점거한 혐의를 받고 있다.
이 같은 행동으로 노조활동과 무관하게 회사는 트럭 813대를 생산하지 못해 244억 원의 손해를 입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16일 전주지방검찰청은 업무방해 혐의로 현대차 전주공장 강모 노조위원장을 구속 기소하고, 서모 부위원장 등 노조 간부 7명을 불구속 기소했다.
검찰 관계자는 "앞으로 정당한 노조의 활동은 최대한 보장하지만 불법 폭력 집회에 대해서는 단호히 대처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노동부 장관의 발언에 따르면 쌍용차만 해도 1~3차 협력업체까지 모두 15만 명에 이르는 고용 영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최대 사업장인 현대차는 이보다 더 큰 고용창출 효과가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노사 갈등에 대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다는 것.
이에 '회사는 노동자들의 노동권을 존중하는 방식으로 신뢰를 얻어야 하고, 노조는 사측의 인사ㆍ경영권을 존중해야 된다'는 노동부 장관 발언을 재해석하면 현대차 노사갈등 해결과 결말에 세간의 주목이 모아진다.
< 저작권자 © 팝콘뉴스 >
|
|
|
|
|
![]()
추천하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