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올린이 :
기사 |
조회수: 615 추천:116 |
2015-10-09 22:00:09 |
|
에너지경제---현대·기아차, 2012년 전자제어장치 조정 '구설' |
현대·기아차, 2012년 전자제어장치 조정 '구설'
정성호 의원 "질소산화물 배출량 감축 시도"- 현대차 "타사 사례와 달라"
김양혁 기자kyh@ekn.kr 2015.10.07 18:57:49
[에너지경제신문 김양혁 기자]
세계 완성차 시장에 파장을 몰고온 폭스바겐의 배출가스 조작 논란이 불거진 가운데 현대·기아자동차도 이와 비슷한 행위를 했다는 지적이 나와 주목된다. 당사자인 현대·기아차는 해당 조치는 질소산화물 배출량을 줄이기 위한 것으로 타사가 조작한 것과는 다른 것이라고 반박하고 나섰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새정치민주연합 정성호 의원은 7일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등으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2년 현대차와 기아차도 이번 폭스바겐 배출가스 조작과 같은 위법 행위가 있던 것으로 확인됐다"고 밝혔다.
정의원에 따르면 현대·기아차는 환경부의 시정권고 조치를 받은 뒤 2012년 8월 투싼 2.0 디젤과 스포티지 2.0 디젤의 급가속시 질소산화물(NOx) 배출량을 줄이기 위해 전자제어장치(ECU) 프로그래밍을 손봤다는 것이다.
현대·기아차는 ECU 프로그래밍 조정을 환경부에 신고하지 않아 인증 내용과 다르게 제작 판매했다는 이유로 과징금 2억6000만원을 부과받았다. 이에 대해 현대차는 "타사와 같이 주행 중 배출가스 순환장치를 임의 조작한 것이 아니다"며 "당시 부과된 과징금은 환경부 시정권고에 따라 배출가스를 줄이기 위한 ECU 개선 내용을 신고하지 않아 부과된 것으로, 이후 신고 절차를 완료했다"고 설명했다.
< 저작권자 ⓒ 에너지경제 >
김양혁 기자의 전체기사 보기
|
|
|
|
|
![]()
추천하기
|
|